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청년희망적금 비교
2023 청년도약계좌 신청 및 청년희망적금 비교와 조건, 중복여부 모든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부는 작년부터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지난 정부에서는 '청년희망적금(24년도 종료 예정)이 그 역할을 했고 올해는 2023년 6월부터는 청년 1억 통장이 새롭게 출시가 되는데요, 그것이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곧 사업이 종료될 청년희망적금과 올해 출시를 앞두고 있는 청년도약계좌는 모두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된 상품이라는 점이 같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22년 출시된 이후 연 10%대의 고금리 상품에 가입하는 효과를 낸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은행 신청앱이 마비가 될 정도로 관심이 매우 높았습니다. 현재는 가입이 불가능한 상태며 해당 적금 상품은 23년 6월에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로 대체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란?
2023 청년도약계좌란 이번 정부에서 대선 공약이었던 청년층의 자산 형성 기회를 만들어주려고 약속한 정책 금융 상품입니다. 5년간 5,00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상품입니다. 가입기한은 최대 5년이며, 최대 납입액은 월 70만 원까지입니다.
- 가입대상 : 2023년 기준 근로사업, 사업소득이 있는 만 19세~34세 이하의 청년(군입대 기간, 최대 6년만큼 나이추가 가능)
- 가입조건 : 개인소득 연 6,000만 원 이하이고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자(연소득은 성과급, 상여금, 복지비용 등을 모두 포괄한 금액)
중위 소득기준은 아래 표를 참조(등본에 기재된 신청자의 가족으로 직계존비속, 형제자매 해당)
2023년 | 중위소득 100% | 중위소득 180% |
1인 | 2,077,892 | 3,740,206 |
2인 | 3,456,155 | 6,221,079 |
3인 | 4,434,816 | 7,982,669 |
4인 | 5,400,964 | 9,721,735 |
5인 | 6,330,688 | 11,395,238 |
※연간소득이 없는 경우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2023 청년도약계좌 지원 혜택
소득구간에 따라 정부에서 월 납입금의 3~6%를 보조해 주고 이와 별도로 은행이자(5% 정도일 것으로 예상)가 별도로 붙습니다. 만기 시에는 이자 비과세 혜택 및 정부 보조금까지 더해지면 만기 시 청년들에게 든든한 현금을 마련할 수 있게 도와주는 상품입니다.
이에 이자율은 8% 정도의 적금 상품이 탄생하는 것이고 매달 최대 금액인 70만 원을 최대 기간인 5년 동안 납입을 할 경우 만기인 5년 후에는 5천만 원이라는 목돈을 수령받게 됩니다.
● 중도해지할 경우에는?
만약 청년도약계좌를 중도해지할 경우에는 이자와 비과세 혜택 및 정부 보조금의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됩니다. 즉, 중도해지할 시에는 그동안 감면받았던 세금을 다시 반납해야 합니다.
그러나 만일 어쩔 수 없는 상황(질병, 실직)으로 인해 해당계좌를 중도해지할 경우에는 중도가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정책이 포함될 수도 있다고 하니 참고로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자세한 사항이나 세부내용은 6월이 되어 해당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된 이후에 더 자세히 살펴볼 수 있을 듯합니다.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청년희망적금은 22년 2~3월 판매됐던 적금으로 11개 은행에서 정식 출시되었는데요, 출시 당시 엄청난 인기를 끌었던 상품입니다. 월 납입금액은 최대 50만 원이었고 소득 기준은 연소득 3,600만 원 이하인자, 그리고 종합소득 2,600만 원 이하인자들에 한하여 가입이 가능했던 상품이었습니다. (나이기준은 청년도약계좌와 동일) 단, 현재는 더 이상 가입이 불가능한 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VS 청년도약계좌 상품 개요 및 비교와 혜택
아래표를 보면 보다 간단히 비교해 보실 수 있습니다.
두 상품 다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될 적금 상품임에는 분명하지만 각기 장단점이 뚜렷합니다.
출시 예정인 2023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에 비하여 소득 요건이 높아서 많은 사람들이 가입대상일 테지만 가입기간이 깁니다. 반면 청년 희망적금은 소득 요건이 타이트하지만 가입기간이 2년으로 비교적 짧습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했었는데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 혹은 갈아타기 가능할까요?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청년도약계좌 중복가입은 어려울듯합니다. 다만 중복가입 및 갈아타기 등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바는 없습니다.
앞으로 정책의 변화를 좀 더 두고 봐야겠지만 본인의 여건과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가입하고 해지하는 것이 아닌 만기 때까지 유지하시는 걸 목적으로 하신다면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