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긴급복지생계지원금, 어려울땐 꼭 보세요.
2023 긴급복지생계지원금, 어려울 땐 꼭 보세요.
긴급복지 생계지원금데 대한 신청 및 자격 조건과 지원기간 그리고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실직 또는 폐업, 중대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긴급한 위기 상황으로 생활하기에 곤란해질 때 생계비부터 의료비, 주거비, 연료비 등을 지원해 주는 정부의 긴급복지지원 제도가 있어 신속하게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
2023 긴급복지생계지원금 지원 대상
- 긴급복지지원법에 따른 위기 상황에 처한 저소득층
(재산) 일반재산+금융재산-주거용 재산 공제한도액*-부채* 주거용 재산 공제한도액: 대도시 69백만 원, 중소도시 420백만 원, 농어촌 130백만 원
지역 | 대도시 | 중소도시 | 농어촌 |
기준금액(주거용 재산공제 한도액 적용시) | 2억 4,100만 원 ~ 3억 1,000만 원 |
1억 5,200만 원 ~ 1억 9,400만 원 |
1억 3,000만 원 ~ 1억 6,500만 원 |
(금융재산) 600만 원 이하(단, 주거지원은 800만 원 이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등 다른 법률에 따라 동일한 내용의 구호, 보호를 받고 있는 경우 지원불가
단, 다른 법률에 따른 지원 결정이 완료되기 전까지 긴급지원신청자의 위기 상황을 고려하여 우선 긴급 지원이 가능합니다.
(소득) 기준중위소득 75%(1인기준 1,558,419원, 4인기준 4,050,723원) 이하
가구 규모 | 1인 | 2인 | 3인 |
원/월 | 1,558,419 | 2,592,116 | 3,326,112 |
2023 긴급복지생계지원금 대상자 선정 기준
- 위기상황의 발생으로 생계유지 등이 곤란하게 된 저소득 가구

2023 긴급복지생계지원금 내용
생계비 지원금 | 1인 가구 기준 62만 원 |
의료비 지원금 | 300만 원 한도 |
주거비 지원금 | 대도시 1인 기준 월 39만 원 한도 |
기타 | 교육비, 연료비, 전기 요금, 해산급여, 장제급여 등 지원 |
가구 구성원 수 | 1인 | 2인 | 3인 |
지원금액 | 623,000 | 1,036,800 | 1,330,400 |
2023 긴급복지생계지원금 신청 방법
관할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서 긴급복지생계지원금을 신청하실 수 있으며 지역번호 없이 129번으로 문의하시면 24시간 상담과 지원 요청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기 시에는 가까운 주민센터 복지과 방문상담으로 빠르게 대처받으시길 바랍니다.
- 긴급복지생계지원금이 지원 기간
지원 | 시, 군, 구청장 결정 | 긴급 지원심의위원회 |
생계. 시설 이용. 연료비 | 2개월 범위 내 지원 연장 | 3개월 범위 내 추가 연장 |
주거지원 | 2개월 범위 내 지원 연장 | 9개월 범위 내 추가 연장 |
교육지원 | 3회(분기) 범위 내 추가 연장 | |
의료지원 | 1회 추가 연장 |
저소득층의 긴급복지지원 제도는 갑자기 당한 위기 상황에 생계유지를 위한 사회의 안전망 제도입니다. 실직과 소득감소로 인해 위기를 겪고 있는 가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제도이니 현재 곤란한 처지로 힘드시다면 위의 여건에 부합되신다면 상담을 통해 혜택을 받아보세요.
신청 시 유의사항 :
같은 사유로는 2년 이내에 신청이 불가합니다. 하지만 다른 사유라면 2년 이내여도 신청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2023년 긴급복지생계지원금 신청방법 및 저소득층 자격 조건과 지원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